2030 정신질환자, 또래보다 혈관질환 발병 위험 높음
페이지 정보
본문
우울증 등 정신질환 경험이 있는 20~30대는 같은 연령대 비질환자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이 58%, 뇌졸중 위험이 42%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.
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·박찬순 임상강사와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009~2012년 사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~39세 성인 655만7천727명을 상대로 정신질환 유무에 따른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22일 공개했다.
연구팀은 젊은 나이에 앓는 정신질환과 심혈관질환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대상자를 정신질환 병력 유무에 따라 구분, 약 7년간 심근경색·뇌졸중 발생을 추적 관찰했다.
정신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전체 대상자 중 13%인 85만여 명이었다.
정신질환은 ▲우울장애 ▲양극성장애 ▲조현병 ▲불면증 ▲불안장애 ▲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▲성격장애 ▲신체형장애 ▲섭식장애 ▲물질사용장애 등 10가지로 정의됐다.
관찰 결과, 정신질환 병력이 있을 경우 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1.58배, 뇌졸중 발생 위험이 1.42배 증가했다.
특히 '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', '물질사용장애'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심근경색 위험이 각각 3.13배, 2.47배까지 증가했다.
뇌졸중 발생 위험은 '성격장애', '조현병'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서 각각 3.06배, 2.95배까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. 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섭식장애의 경우 뇌졸중 발생 위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.
최의근 교수는 "이 연구 결과는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았거나, 받는 중인 젊은 성인에게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건강검진 및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"며 "앞으로 정신질환 치료 시 심혈관질환 위험이 일반인 수준으로 정상화될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"고 설명했다.
한편 이번 연구는 '유럽 심장예방 저널(European Journal of Prevnetive Cardiology)' 최신호에 게재됐다.
경기일보 황아현 기자 1cor1031@kyeonggi.com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